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보증 수리 대상 및 조건 정리 (국산차·수입차 비교 가이드, 2025년 최신)

by 엔진형 2025. 5. 15.

차량을 구매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제조사가 무상으로 수리해주는 보증 제도가 있습니다. 이를 자동차 보증수리라고 하며, 정비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국산차·수입차의 보증 수리 대상, 기간, 조건을 비교하고, 보증 제외 항목 및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자동차 보증 수리란?

제조사의 품질 보증 기간 내에 차량에 자연적 결함이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정비 및 부품 교환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보증 수리 대상 항목

  • 파워트레인 부품: 엔진, 변속기, 구동축 등 핵심 부품
  • 차체 및 주요 전자장치: ECU, ABS, 전자제어모듈 등
  • 하이브리드 시스템 또는 전기차 배터리
  • 냉난방 장치: 에어컨 컴프레서, 히터 코어 등

단, 사용자의 과실 또는 소모성 부품 문제는 보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국산차 보증 수리 조건 (2025년 기준)

항목 보증기간 주행거리 제한
일반 부품 3년 60,000km
엔진·변속기(파워트레인) 5년 100,000km
전기차 배터리 8년 160,000km

현대·기아·쉐보레 등 대부분의 국산차 브랜드는 유사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수입차 보증 수리 조건 (브랜드별 예시)

  • BMW: 3년 / 200,000km (엔진, 변속기 포함)
  • 벤츠: 2년 무제한 or 3년/100,000km (차종별 상이)
  • 아우디·폭스바겐: 3년 / 100,000km
  • 테슬라: 기본 보증 4년 / 80,000km, 배터리 8년 / 192,000km

수입차는 브랜드마다 보증 조건이 상이하므로, 출고 시 계약서 또는 보증서 확인 필수입니다.

보증 제외 항목 (국산·수입차 공통)

  • 타이어, 와이퍼, 전구, 브레이크 패드 등 소모성 부품
  • 사고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고장
  • 불법 튜닝이나 비정상 사용으로 인한 손상
  • 정기 점검 미이행 시 일부 보증 거부 가능

보증 수리 받는 절차

  1. 공식 서비스센터 방문 (예약 권장)
  2. 보증서 또는 차량등록증 확인
  3. 문제 증상 점검 → 보증 대상 여부 확인
  4. 보증 대상일 경우 무상 수리 진행
  5. 소모품 또는 과실 시 유상 청구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중고차도 보증이 되나요?
    → 네, 잔여 보증기간이 남아 있으면 보증 이전 가능합니다.
  • Q. 사설 정비소에서 수리하면 보증 유지되나요?
    → 보통은 불가. 공식 서비스센터 이용이 원칙
  • Q. 보증 연장도 가능한가요?
    → 제조사 또는 보험사 통해 보증 연장 상품 가입 가능

마무리

자동차 보증 수리는 차량 관리 비용을 줄이는 데 매우 유용한 제도입니다. 특히 초기 고장이나 전자장치 문제는 수백만 원의 수리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증 기간 내에 꼼꼼하게 점검하고 수리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량 구매 후 보증 기간과 조건을 꼭 확인하고, 수입차는 브랜드별 보증 범위에 따라 정비 전략을 세우는 것이 현명한 차량 관리의 시작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